음3월 초하루신중기도(3/29,토)
본문
음력3월 초하루신중기도가 3월29일(토, 음3/1) 70여명의 대중들이 동참한 가운데
스님들의 인례로 여법하게 봉행되었습니다.
법회전 눈발이 날리는 봄날. 한동안 따뜻하게 느껴졌던 날이
오늘 내린 잠시잠깐 눈발에 더욱 춥게 느껴지는 날이네요..
상단불공과 신중단 퇴공의식으로 정성스레 기도의식을 마무리하고
동민스님(불광사 지도법사)의 법문으로 "불자의 초하루"의 의미를 되새겨 봅니다.
몇해전 금강정사 총무소임을 맡았던 동민스님께서는 현재 불광사에 주석하고 계신데요.
매월 초하루기도일. 동민스님의 법문으로 함께하실수 있습니다.
오늘 동민스님의 법문영상은 금강정사 유튜브 채널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
불자의 초하루
불광사 지도법사 동민스님
불교에서 초하루는 음력으로 매월 1일을 가리키며, 특히 사찰에서는 중요한 신행(信行) 의식이 이루어지는 날입니다. 초하루 신행 문화는 불교 신자들이 매월 초 시작점에서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고, 부처님과 삼보(불·법·승)에 대한 공경과 서원을 다짐하는 전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불교에서 초하루의 의미
새로운 시작과 정진
초하루는 한 달의 시작이므로 불자들은 이 날을 기점으로 지난 한 달을 돌아보고, 다가올 한 달 동안 더욱 정진할 것을 다짐합니다.
불교에서는 "한 순간이 중요하다"는 가르침이 있듯이, 매월 첫날은 자신을 점검하고 새로워지는 기회로 삼습니다.
공덕과 복을 기원
사찰에서는 초하루에 초하루 법회를 열어 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기도를 올립니다. 신도들은 자신과 가족의 안녕, 건강, 사업의 번창 등 세속적 소원을 기원하는 동시에 마음의 평화를 추구합니다.
업장 소멸과 수행 다짐
불교에서는 인과법에 따라 과거의 업이 현재의 삶에 영향을 준다고 봅니다. 초하루에는 정성을 다해 참회 기도를 올리고, 선행을 다짐하여 업장을 소멸하고 복을 짓고자 합니다.
삼보에 귀의하는 전통
불, 법, 승 에 귀의하는 마음을 다시 세우는 계기입니다. 특히 초하루에는 불교 경전을 독송하기. 화엄경, 금강경 등 주요 경전
불자들이 음력 초하루 기점으로 실천하기
1. 발원과 서원 세우기
한 달 동안 실천할 구체적인 목표 세우기
- 예) 하루 108배, 금강경 독송, 참선 30분 등
가족과 주변의 평안을 기원하고 중생을 위하는 마음으로 서원 세우기
2. 기도와 독경
사찰 초하루 법회 참석하여 삼보에 귀의하고 기도 올리기
가정에서 금강경, 천수경, 반야심경 등 독송하기
불보살님께 한 달 동안의 평안과 지혜를 기원하며 기도
3. 참선과 명상
하루 10분에서 30분간 호흡을 관찰하며 마음을 가라앉히기
간화선 수행 시 화두(話頭)를 챙기며 본래 마음 자성 확인
4. 108배 및 절 수행
108배를 통해 참회와 감사의 마음 다지기
신체 건강과 마음 수양을 동시에 실천
5. 보시와 나눔 실천
이웃에게 작은 도움 주기 (음식 나눔, 기부, 자원봉사)
사찰에 공양 올리기 또는 어려운 이웃 돕기
6. 계율과 수행 점검
불자로서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계율(불살생, 불투도, 불사음, 불망어, 불음주)점검
지난 한 달 동안의 삶을 돌아보고 스스로 반성
7. 감사 일기 및 수행 일기 쓰기
하루를 마무리하며 감사한 일 세 가지 적기, 하루 수행을 기록하여 스스로 점검
8. 선지식의 가르침 듣기
법문 듣기(온라인 법회, 유튜브 법문 영상 등)
경전 읽기 및 불교 서적 탐독
초하루는 새로운 마음으로 한 달을 시작하는 중요한 날입니다. 작은 실천이라도 꾸준히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니,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지속해 보시길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