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섭스님의 천수경과 함께...

본문 바로가기


참여마당
금강정사 소식

가섭스님의 천수경과 함께하는 행원여행(스물세번째) _ 3/23(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3-23 15:25 조회82회 댓글0건

본문

가섭스님의 행원여행 스물세번째 법회가 3월23일(일) 3월 넷째주 일요법회로 여법하게 봉행되었습니다. 

 

따스한 봄날, 천수경과 함께하는 가섭스님의 행원여행은 다라니 법문으로 이어집니다. 

 

 가섭스님의 법문영상. 금강정사 유튜브 채널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https://youtu.be/V5vJKEENmi0

 

이 대비주(大悲呪)를 지극정성으로 외우면 반드시 위신력의 가피를 입게 됩니다

다라니를 통해 관음보살이 대자대비로 중생을 연민의 마음을 이해하고

우리도 나(自性衆生)와 이웃 중생을 위해 다라니를 외우며 

관세음보살을 닮고자 실천행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법회보 중)

 

- 법회이후 도량등 설치 및 창고정리 운력이 대중들의 참석으로 3일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 

함께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와 찬탄의 박수를 올립니다.. _()_

 

1.jpg

 

2.jpg

 

3.jpg

 

4.jpg

 

5.jpg

 

6.jpg

 

7.jpg

 

8.jpg

 

 

천수경과 함께하는 행원여행 23


                                              조계종 중앙종회의원 가섭스님


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하라나야 마낙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첫 번째 이름: 자비심이 깊으신 청경(靑頸) 관음존이시여, 희망의 성취를 바라는 자에게 환희심과 공경심을 내게 하는 분이시여, 나의 소원을 성취하게 하소서


싯다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두 번째 이름: 성취존이시여, 나의 소원을 성취하게 하소서.


마하싯다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세 번째 이름: 위대하신 성취존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싯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네 번째 이름: 불이를 성취하신 자재존(自在尊)이시여, 

성취하게 하소서. 


니라간타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다섯 번째 이름: 청경관음존이시여,나의 소원을 성취하게 하소서


바라하 목카싱하 목카야 사바하

관세음보살의 여섯 번째 이름: 산돼지 얼굴, 사자 얼굴을 한 관세음보살이시여, 나의 소원을 성취하게 하소서.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바나마 ; 연꽃 / 하따야 ; 잡다, 손으로 잡다 /관세음보살의 일곱 번째 이름: 연꽃을 손에 잡으신 관음존이시여, 축복하여 주소서.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자가라 ; 큰 둥근 바퀴 / 욕다야 ; 전투, 전쟁 /관세음보살의 여덟 번째 이름: 큰 바퀴를 굴리며 전투하는 관음존이시여, 승리하게 하소서.


상카섭나녜 모다나야 사바하 

상카섭나네 ; 법(法) 소라 나팔 소리 / 모다나야 ; 깨닫게 하는.

관세음보살의 아홉 번째 이름: 법(法)소라 나팔 소리로써 어두움을 헤매는 자를 깨닫게 하시는 관세음보살이시여, 축복하여 주소서.


마하라 구타다라야 사바하 

마하 ; 크다 / 라구타 ; 곤봉, 막대 / 다라야 ; 가지다 / 관세음보살의 열 번째 이름: 큰 곤봉을 가지고 불의에 임하시는 관음존이시여, 나의 소원을 성취하게 하소서.


바마사 간타니사 시체다 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바마 ; 왼쪽 / 사간타 ; 어깨 / 이사 ; 모가 나다 / 시체다 ; 굳게 지키다 / 가릿나 ; 흑색(黑色) 신(神) / 이나야 ; 승리자(勝利者) / 관세음보살의 열한 번째 이름 : 왼쪽 어깨의 모서리를 굳게 지키는 승리자이신 흑색의 신이신 관음존이시여, 나의 소원을 성취하게 하소서.


먀가라잘마 이바사나야 사바하 

먀가라 ; 호랑이 / 잘마 ; 가죽 / 이바사나야 ; 옷을 입다 / 관세음보살의 열두 번째 이름: 호랑이 가죽옷을 입은 관음존이시여, 나의 소원을 성취하게 하소서.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3번) 

삼보님께 귀의하며 받드옵니다.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께 귀의합니다.


이 대비주(大悲呪)를 지극정성으로 외우면 반드시 위신력의 가피를 입게 됩니다. 다라니를 통해 관음보살이 대자대비로 중생을 연민의 마음을 이해하고, 우리도 나(自性衆生)와 이웃 중생을 위해 다라니를 외우며 관세음보살을 닮고자 실천행을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금강정사안내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 오시는 길 |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