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일요포살법회(7/6,일)

본문 바로가기


참여마당
금강정사 소식

7월 일요포살법회(7/6,일)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5-07-07 10:11 조회37회 댓글0건

본문

7월 첫째주 일요법회(7/6,일)는 포살의식으로 한달을 시작합니다. 

포살요목을 읽어가며 저희들의 생활을 점검하고 발원합니다.~~~

이어진 벽암지홍스님의 "자비관 수행과 그 공덕"에 대한 주제법문으로 행복을 기원합니다. 

큰스님께서는 금강정사 불자들이 자비경을 항상 수지 독송할것을 당부하십니다.  

 

벽암 지홍 큰스님 법문동영상 보기 : 

https://youtu.be/1NebPzPyAMc 


"이 세상의 모든 생명이, 강하거나 약하거나 큰 것이나 작은 것이나 무거운 것이거나 가벼운 것이거나 모두 행복해 지기를 편안해 지기를 착해 지기를 발원해야 한다. 또 눈에 보이는 것이나 보이지 않는 것이나 가까이 있는 것이나 멀리 있는 것이나 이미 태어난 것이나 앞으로 태어날 것이나 모든 생명들이 행복해지기를 원해야 한다. 어떤 경우라도 남을 속이거나 무시해서도 안 되고 미워해서도 안 된다. 분노하는 마음도 해치려는 마음도 내서는 안 되며, 남에게 아픔을 주지 않도록 애써야 한다. 마치 어머니가 목숨을 걸고 하나밖에 없는 아들을 지키듯이 모든 생명에게 한량없는 자비심을 내야 한다. 이렇게 사는 것을 귀한 삶이라고 한다."   (자애경 중)

 

법회의 원만봉행을 수고해 주신 모든분들께 감사와 찬탄의박수를 올립니다. ^^

 

사회는 여실심보살님께서, 집전은 법성거사님께서, ppt는 반야향보살님께서, 

발원문낭독은 감로향보살님께서 수고해 주십니다.

 

올라오는길 봉고차 운행과 매월 첫째주 차나눔 봉사는 다도반에서, 

공양물품 판매와 함께 미소로 신도님들을 맞이하는 가피봉사자들, 

천상의 하모니 바라밀합창단과 점심공양 콩국수 준비는 문수1구에서 수고하십니다.

 

지장전앞에선 백중영가등 등표달기가 시작됐구요. 법회후엔 금강정사 한달을 점검하는 

명등회의가 큰스님을 모시고 진행됩니다. 관음구에선 십시일반 불사금을 조성하여 

사중에 전달하는 이벤트를 준비해 주셨네요. 

백중기도를 맞아 종무소엔 전화와 방문객들이 끊이질 않네요... 

 

모두가 행복한 하루였기를.^^

1.jpg

 

2.jpg

 

3.jpg

 

4 (2).jpg

 

4 (3).jpg

 

4.jpg

 

5.jpg

 

6.jpg

 

7 (2).jpg

 

7.jpg

 

8.jpg

 

9.jpg

 

10.jpg

 

11.jpg

 

12.jpg

 

자비관 수행과 그 공덕

 

벽암 지홍스님

 

자비란 고와 번뇌에서 벗어남과 함께 중생교화를 발원한 대승보살의 마음이며 그 마음 씀씀이다. 佛道를 이루고자 서원한 불자들 또한 내 욕망에 이끌리는 중생의 마음을 극복하고 이 같은 보살의 마음, 자비심으로 살아야 한다. 작은 미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육도중생을 향한 연민을 일으켜, 그들 모두가 나고 죽는 윤회에서 벗어나 영원한 안락에 이르길 간절히 기원하는 마음에 머무는 것, 이것이 자비관이다.

 

마음의 작용은 미묘하여 작기로 말하면 바늘 하나 꽂을 자리가 없고 크기로 말하면 온 허공을 감싸고도 남음이 있다. 이 큰마음에 머물러 스스로 관세음보살의 손(千手)과 눈(千眼)이 되어 세상과 더불어 함께 사는 데서 자비가 성숙된다. 이 자비로 일관된 삶 속에서 계행은 저절로 청정해 지며, 布施, 持戒, 忍辱..등 불자들이 성취해야 할 육바라밀 또한 원만 성숙해진다. 일상 곳곳에서의 만남이 불보살님이 중생을 가엾이 여기듯, 또 부모가 자식을 염려하듯, 그 간절한 연민의 마음에서 이루어진다면 우리들 은 얼마나 행복하고 평화로울까.

우리가 비록 욕망과 이기심이 뒤섞인 번뇌 속에 살고 있다 해도 그 내면 깊은 곳에는 순수하게 열려있는 연민의 마음이 자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육도중생 모두에게 불성(佛性)이 있음을 굳게 믿는 것에서부터 자비관 수행은 시작된다.그런 다음 좌선하는 자세로 앉아 호흡으로 몸과 마음의 헐떡거림을 가라앉히고 고요히 한다. 호흡이 고르지 못하면 도 산만해지기 쉬우므로 관이 잘 안된다고 생각되면 우선 호흡이 잘 되고 있는가를 살펴서 행.......정이 어떠한 경우에도 호흡과 이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 몸과 마음이 고요한 가운데 집중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추고 다음과 같은 의 내용을 一心으로 한다.

 

이 세상의 모든 생명이, 강하거나 약하거나 큰 것이나 작은 것이나 무거운 것이거나 가벼운 것이거나 모두 행복해 지기를 편안해 지기를 착해 지기를 발원해야 한다. 또 눈에 보이는 것이나 보이지 않는 것이나 가까이 있는 것이나 멀리 있는 것이나 이미 태어난 것이나 앞으로 태어날 것이나 모든 생명들이 행복해지기를 원해야 한다. 어떤 경우라도 남을 속이거나 무시해서도 안 되고 미워해서도 안 된다. 분노하는 마음도 해치려는 마음도 내서는 안 되며, 남에게 아픔을 주지 않도록 애써야 한다. 마치 어머니가 목숨을 걸고 하나밖에 없는 아들을 지키듯이 모든 생명에게 한량없는 자비심을 내야 한다. 이렇게 사는 것을 귀한 삶이라고 한다.” (자비경)

 

부모는 자식이 멀리 떠나 있거나 가까이 있거나, 또 잘나고 못나고를 가리지 않는 한결같은 마음으로 대한다. 뼈를 깎는 아픔 속에서도 절대 자식 곁을 떠나지 않는다. 자비관 수행이란 이 같은 절대적인 사랑, 자비로 모든 존재의 삶을 헤아려 보살피며 살고자 하는 마음 닦음이다. 몸에 기생해 사는 이까지도 큰 통에 따로 모아 살렸다고 하는 예전 스님들의 깊은 마음을 떠올려 본다. 풀 한 포기, 작은 벌레에 이르기까지 일상에서 만나고 헤어지는 모든존재의 아픔을 사무치게 하고 하루빨리 그러한 과보에서 벗어나 편안하고 행복해지를 발원하는 간절한 마음에 머무르는 것이다. 그러한 마음에 머물러 사는 한 서로의 몸과 마음에 상처를 내는 일은 있을 수 없다.

 

또 사람들은 제 욕심 채우기에 급급한 나머지 서로 다투고 질시하는 아수라 속에서 아귀처럼 허덕이며 살기도 한다. 비록 인간 세상에 났다 해도 사람의 마음은 지옥에서 천상에 이르기까지 왔다 갔다 한다. 한치의 앞도 내다보지 못하고 좌충우돌 살고 있는 삶에서 나를 세상을 향해 자비심을 일으켜 들여다 보는 것이다. 자신이 장자의 아들인 줄도 모르고 거지행색으로 세상을 떠도는 어리석은 아들법화경의 비유처럼 우린 한량없이 큰마음을 겹겹의 미망 속에 가두어 두고 쉴 새 없이 방황하고 있다. 이 어찌 연민의 마음이 일지 않겠는가. 이생의 본질을 꿰뚫는 지혜의 안목에서 우러나는 진정한 자비로 자식, 남편, 아내 등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시작하여 모든 존재의 삶을 자비심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그리고 제 살 에는 줄도 모르고 서로 대립하고 갈등하며 살고 있는 중생의 삶에서 하루빨리 깨어나기를 간절히 발원한다. 악도에 떨어져 고통받고 있는 악업 중생까지도 가엾이 여겨 구제하기를 서원하고 계시는 불보살님처럼 말이다. 서 있을 때나 걸을 때나 앉아 있을 때나 누워있을 때나 깨어있을 때나 잠들어 있을 때나, 가리지 않고 자비심을 일으켜야 한다. 쉬지 않는 자비관 수행은 존재의 참모습을, 를 이해하는 성숙한 삶으로 이끌어간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불수레 지옥에 계실 때, 같이 불수레를 끄는 지옥중생을 가엾이 여겨 자비를 베풀기를 간청하다가 쇠작살에 목이 찔려 백겁 동안의 지옥고에서 벗어나셨다 한다. 이 같은 자비원력은 어떠한 고난 속에서도 훌륭한 성취를 가져온다. 를 극복한 순수한 마음은 아무 사심(邪心)이 없어 두려워할 것이 없다. 거기서 힘이 나온다. 우리 주변에는 부모들이 버린 아이들을 내 자식처럼, 또 버려진 노인들을 내 부모처럼 키우고 돌보는 사람들이 있다. 이 자비원력으로 사는 사람들이 진정한 자비관 수행자이다. 그들의 행()과 말(), 그리고 마음()은 언제나 너그럽고 따뜻하다. 그 속에 세상의 고통을 이기는 힘이 있다.

 

자비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자비관 수행 공덕을 말하고 있다.

 

자비관 수행을 하면, 악몽을 꾸지 않아 편안히 잠을 잘 잘 수 있으며, 즐겁게 깨어난다. 또 사람들이나 사람 아닌 존재들의 아낌을 받는다. 불의의 사고나 장애가 없다. 천신들이 보호해준다. ()이나 독, 또 무기의 해를 입지 않는다. 그의 마음은 쉽게 선정을 이룰 수 있고 얼굴 표정은 평온하고 밝으며 임종에도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는다. 설혹 이 사람은 높은 경지를 못 얻었다 하더라도 최소한 행복한 세계에서 살 수 있다.”

 

모든 존재들을 향해 자비심으로 열려있는 그 마음이 자기 스스로를 충만케 한다. 뿐만아니라 삭막해져 가는 세상 인심을, 환경오염으로 심각한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또 파괴되어가는 생태 질서를 제자리로 돌려놓을 수 있는 유일한 힘이다. 이것이 불보살님의 마음을 닮아 가는 진정한 수행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금강정사안내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 오시는 길 |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