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가재일 벽암 지홍 스님...

본문 바로가기


참여마당
금강정사 소식

출가재일 벽암 지홍 스님의 법문(3/2,월)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03-03 09:31 조회3,904회 댓글0건

본문

출가재일을 맞이하여 벽암 지홍 스님의 법문을 올립니다. 

모두 함께 법문을 읽어 보시고 출가재일의 큰 의미를 마음속에 다시 한번 되새기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개인위생관리를 철저히 하시어 건강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jpeg


출가정신은 역동적인 삶의 철학
벽암 지홍 스님



“출가는 ‘집을 나감’이다. 집이란 때 묻고 얼룩진 낡은 껍질을 의미한다. 헛된 욕망과 거짓된 즐거움으로 충만한 이 세상과 그 속에서 얻을 수 없는 것을 구하면서 늙음과 병듦과 죽음의 수레바퀴에 끌려가는 나와 당신의 낡은 생각과 낡은 생활에서 벗어남이 곧 출가이다.” ("앙굿따라 니까야")

음력 2월 8일은 싯다르타 태자가 가비라성 성벽을 넘어 출가(出家)한 날이다. 태자는 “나는 일체 중생을 죽음에서 구하기 위하여 출가하나니, 위없는 큰 깨달음을 성취하기 전에는 결코 집으로 돌아가지 아니하리라”라는 큰 서원을 세우고 출가하셨다. 왕자로서 당연히 누릴 수 있는 권력과 부귀영화를 과감히 떨쳐버리고 모든 중생들을 생사윤회의 고통에서 해탈케 하기 위하여 구도에 나선 것이다. 그것은 인류 역사의 흐름을 바꾸어 놓은 일대 사건이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출가 이야기는 영원한 감동과 교훈으로 남아 지금도 우리를 일깨우고 있다.
하지만 부처님의 생애를 따라 배우고 수행할 것을 서원한 우리들의 삶은 어떠한가? 쾌락에 얽매이고 욕망에 이끌려 사는 삶이 고통스럽다는 것을 번연히 알면서도 거기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생을 거듭하면서 익혀온 오랜 습성과 타성에 자신을 가두고 있는 것이다. 우리들 삶이 진정 행복하고 평화롭기를 원한다면 이 같은 낡고 때 묻은 껍질에서 벗어나야 한다. 그리고 자신과 세상을 바로 보고 바르게 살기 위한 새로운 출발을 서둘러야 한다. 이 진실한 삶을 향한 결연한 의지의 결행이 출가이며, 그 굳건한 믿음이 계속될 때 번뇌는 사라지고 삶은 개선되어간다.
우리는 오늘 싯다르타 태자의 출가의 깊은 뜻을 새기면서 스스로의 삶을 돌이켜볼 필요가 있다.
‘나는 진정 행복한가?’
‘나의 삶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가?’
생로병사는 그렇다 치더라도 물질과 육신의 욕망에 치우친 전도된 가치관으로 우리들 현실 삶은 결코 만족스럽지 못하다. 사회적 지위와 명예 등 겉치레에만 급급한 우리들은 쫓기듯 바쁘기만 할 뿐 언제나 허전하다. 과거 배고픈 시절을 보상이라도 받으려는 듯 좀더 높은 자리, 좀더 큰 것만을 염두에 두고 달려온 것이다. 인간다움을 배우고 연습해야 할 가정과 학교는 경쟁에서 이기기 위한, 또 돈을 벌기 위한 훈련소가 된 듯하다. 모든 선택의 결정 기준은 나에게 얼마나 물질적으로 이익이 되는가 여부이다. 정말 순수한 사랑과 헌신으로 꾸려져야 할 가정조차도 그 같은 이기심으로 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 가정붕괴는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사람다움의 조건이 되는 아주 기본적인 것들을 외면하고 부실하게 살아온 우리들 삶은 경제 불황으로 삶의 전반적인 구조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삶의 든든한 토대가 되어주리라 믿었던 사회경제는 모래성이었던 것이다. 심한 상실감과 허탈감에 빠진 우리 사회가 진정 필요로 하는 것은 출가정신에 의한 새로운 출발이다.
흐르는 물은 매순간 그 자리에서 언제나 최상을 이룬다. 절벽을 만나 폭포의 장관(壯觀)을 드러내고 깊은 계곡에서는 힘차며 더러운 곳에서는 때를 씻어내며 또 너른 벌에 이르러서는 잔잔하여 아름답다. 우리 인생도 늘 새롭고 낯설게 다가오는 상황들에 능동적일 때 생명력을 지니며 성숙하게 된다. 출가정신은 어떠한 고난에서도 새롭게 서고자 하는 역동적인 삶의 철학이다.
또다시 출가재일을 맞이한다. 이제 우리는 허욕과 집착, 그리고 미망들이 드리운 삶의 그늘에서 벗어나 건강한 삶을 향해 나가는 마음의 출가(心出家)를 단행해야 한다. 내 삶을 올곧게 펴나가겠다고 하는 서원(誓願)이 낡은 생각과 낡은 생활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있는 출가의 세계이다.


                      팔상예문(八相禮文) 

[부처님 일대기를 여덟 가지의 내용으로 함축하여 예경하는 의식입니다.]

지심정례공양 사생자부 도솔래의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귀명례 사생자부 비람강생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정례공양 사생자부 사문유관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귀명례 사생자부 유성출가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정례공양 사생자부 설산수도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귀명례 사생자부 수하항마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정례공양 사생자부 녹원전법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귀명례 사생자부 쌍림열반상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지심정례공양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
지심정례공양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승가야중
다함없는 삼보시여 저희공양 받으시고 가피력을 내리시어
법계중생 모두함께 성불~하여지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금강정사안내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 오시는 길 | 사이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