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인년 설날합동차례(2/1,...

본문 바로가기


참여마당
금강정사 소식

임인년 설날합동차례(2/1, 화, 음1/1)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2-02-01 15:06 조회1,716회 댓글0건

본문

금강 가족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오늘은 불기2566(2022)함박눈이 펑펑 내리는 임인년 설날입니다.

1830분과 21030, 2회에 걸쳐 봉행된 이날 설날합동차례는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는 차원에서 현장참여 대중들과 유튜브 실시간 중계를 통한 참여 대중들이 함께하였습니다.

사중스님들의 인례로 설날차례를 여법하게 봉행된 합동차례와 설날의 의미와 정초 기원행사대한 벽암 지홍스님의 소참법문에 이어, 조상님들께 대한 감사와 효를 마음에 새기며 올리는 잔에 사부대중들의 정성이 가득합니다.

금강정사 가족여러분들, 한해 복 많이 지으시고 또 받으시면서 무엇보다 건강한 날들 되시길 기원합니다.

 마하반야바라밀_()_

 

벽암 지홍스님의 온라인 동영상 법문 : https://youtu.be/7o-yk3BC2_E 

 

1.jpg

 - 임인년 설날합동차례 - 

1-1.jpg

 - 법회가 열리기전 이른 새벽에 벽암 지홍스님께서 먼저 잔을 올립니다 -  

2.jpg

 - 합동차례 1부와 2부, 모든 사중스님들께서 함께 지극한 정성으로 기도를 올립니다 -  

3.jpg

 - 스님들의 지극한 축원 소리가 법당을 울려퍼집니다 -  

4.jpg

 - 지극한 마음으로 부처님께 공양합니다 -  

4-1.jpg

 - 벽암 지홍스님의 소참법문 -   

5.jpg

 - 먼저 신도회장단의 청여부회장님께서 잔을 올립니다 - 

6.jpg

 - 고마움과 감사함을 담아 절을 올립니다 -  

7.jpg

 - 마지막으로 재봉사팀이 절을 올립니다 - 

8.jpg

 - 뒤늦게 참배를 하러 오시는 분들을 위해 준비된 영가위패단 - 

9.jpg

 - 연신 펑펑 내리는 눈을 치우는 우리 금강 거사님들 -     

10.jpg

 

11.jpg

 

설날의 의미와 정초 기원행사


벽암 지홍스님


2022년, 임인년은 검은 호랑이 띠라고 합니다.  호랑이 띠는 돼지띠 못지않게 좋은 띠라고 합니다. 해를 상징하는 ‘띠’는 열두 가지의 동물인 12지와 하늘의 이치를 담은 10가지 색이 결합되어서 만들어집니다.

 

  인(寅)은 양입니다. 인시(寅時)는 하루 중 새벽인 03:30∼05:30 사이이며, 인월(寅月)은 음력 1월, 양력 2월에 해당하여 1년 중 가장 긴 겨울이 끝나고 봄이 시작된다는 입춘(立春)의 시기에 해당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새 아침의 하루가 시작되는 때입니다. 계절로 볼 때는 긴긴 겨울을 끝내고 새 봄을 맞이하는 시기입니다. 새봄과 새아침은 새로운 희망을 의미합니다. 새해에는 모든 액란이 소멸되고 선진시민으로서 행복하고 평화로운 해가 되기를 바랍니다.

 

* 불법승 삼보님과 호법선신과 선망조상열위영가님께 설날 예경을 하고 차례를 모시는 것은 후손으로서 무엇보다 소중한 일입니다.

 

* 오늘 이렇게 가족 모두가 함께 모여서 차례를 지내는 것은 거룩하고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설은 새로운 시작이라는 의미입니다. 시작도 올바른 시작이라는 의미라 해서 정초, 정월이라 합니다.

 

 이 정월에는 시작이라는 의미의 기원의식이 농경시대에 여러 형태로 행해졌습니다. 그 기원의식은 일정한 체계를 갖추어 거행되었는데 곧 산제와 당제 그리고 가정의 차례가 그것입니다.

 

1. 산제 : 마을의 뒤 가장 큰 산봉우리에 올라가 천신과 지신, 산신께 평화로운 세상과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습니다.
2. 당제 :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는 당산에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냈습니다.
3. 차례 : 차례는 명절 때 가정에서 조상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데 이때 가정의 안녕과 가족의 무병장수를 기원했습니다.

 

* 차례의 의미 : 명절차례는 천륜과 인륜에 관한 문제입니다.

 천륜(天倫)은 모든 생명과의 윤리적 관계이며 인륜(人倫)은 인간의 윤리도덕적 관계를 말합니다.

 

  그리고 정월에는 풍물을 치면서 가가호호 방문을 하여 집안의 안녕과 만복을 기원하는 지신밟기를 했습니다. 이때 각 가정(성주신, 조왕신, 지신)에서 지신밟는 풍물패에게 돈을 내놓는데 그 돈을 모아 마을의 가장 중요한 다리나 도로, 마을회관, 공동우물 등 공공성의 공사를 했다고 합니다. 여기서 농경시대 농촌마을 공동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금강정사안내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서비스 이용약관 | 오시는 길 | 사이트맵